🧐 AWS CloudTrail과 MITRE ATT&CK으로 파헤치는 클라우드 공격 시나리오 및 완벽 방어 전략
Oct 27, 202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동력인 클라우드는 현대 기업에게 없어서는 안 될 인프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가 가져다주는 무한한 가능성 뒤에는 끊임없이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이라는 그림자가 존재합니다. 매 순간 쏟아지는 방대한 이벤트 로그 속에서 공격자의 은밀한 흔적을 식별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이제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 역량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여기서 AWS CloudTrail은 클라우드 보안의 핵심적인 통찰력을 제공하는 감사 서비스입니다. AWS 계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API 호출 및 관리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겨,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수행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안 침해를 탐지하고, 공격자의 행위를 조사하며, 견고한 사고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데이터 소스가 됩니다.
저명한 MITRE ATT&CK 프레임워크는 공격자가 클라우드 환경에 침투하여 궁극적인 목표(예: 권한 상승, 데이터 탈취)를 달성하기까지의 과정을 14가지 전술 단계로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초기 접근(Initial Access), 권한 상승(Privilege Escalation), 자격 증명 접근(Credential Access), 방어 회피(Defense Evasion), 실행(Execution), 데이터 유출(Exfiltration) 단계에서 중요한 보안 이벤트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곤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AWS CloudTrail이 생성하는 수많은 이벤트 중, 보안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공격 유형 Top 10을 MITRE ATT&CK 관점에서 심층 분석하고, 각 공격 유형에 대한 테이텀 시큐리티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테이텀 시큐리티와 함께 클라우드 보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경험해 보시죠.
🦺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MITRE ATT&CK 개요 : 공격자의 전술을 이해하다
MITRE ATT&CK은 공격자들이 목표 시스템에 침투하여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까지 사용하는 다양한 전술(Tactics)과 기술(Techniques)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글로벌 지식 기반입니다. 이는 실제 공격 사례를 바탕으로 구축되어, 보안 전문가들이 공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방어 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ATT&CK 프레임워크는 총 14가지 전술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많은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 특화된 MITRE ATT&CK 매트릭스에서는 특히 다음과 같은 전술 단계에서 중요한 침해 이벤트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CloudTrail 로그를 통해 이들의 흔적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Initial Access (초기 접근)
: 공격자가 클라우드 환경에 처음 침투를 시도하는 단계입니다. 주로 공개 키 노출, 취약한 계정 정보 탈취, 또는 외부와 연동된 API의 취약점을 통해 시스템에 접근을 시도합니다. CloudTrail 로그에서는 외부 IP로부터의 비정상적인 로그인 시도,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 이름으로 로그인 시도 등이 이 단계와 연관될 수 있습니다.Execution (실행)
: 침투에 성공한 공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활용하여 악성 코드를 실행하거나, 시스템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입니다. 예를 들어, Lambda 함수를 악용하여 코드를 실행하거나, EC2 인스턴스 내에서 셸 명령어를 실행하는 등의 행위가 이 단계에 속합니다. RunInstances, InvokeFunction 등의 CloudTrail 이벤트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Persistence (지속성 확보)
: 공격자가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탐지되지 않고 장기간 접근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구축하는 단계입니다. 악의적인 IAM 사용자나 Role을 생성하여 백도어를 만들거나, 스케줄된 태스크를 등록하여 주기적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CreateUser, CreateRole 등의 이벤트가 대표적인 지표입니다.Privilege Escalation (권한 상승)
: 공격자가 확보한 초기 권한보다 더 높은 수준의 권한을 얻으려 시도하는 단계입니다. IAM 정책 수정(예: AttachRolePolicy, PutUserPolicy), AssumeRole 남용 등을 통해 관리자급 권한을 획득하고자 합니다. CloudTrail은 이러한 민감한 권한 변경 이력을 상세히 기록합니다.Defense Evasion (방어 회피)
: 공격자가 보안 솔루션의 탐지를 회피하거나 자신들의 활동 흔적을 지우려 하는 단계입니다. CloudTrail 로깅 비활성화(StopLogging), Config 서비스 비활성화, 로그 삭제(DeleteTrail), 보안 그룹 변경 등이 대표적인 방어 회피 기술입니다. 이 단계의 이벤트를 놓치면 후속 공격을 전혀 감지할 수 없게 됩니다.Credential Access (자격 증명 탈취)
: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추가적인 계정 정보를 탈취하거나 접근 토큰을 얻으려는 단계입니다. Access Key 생성(CreateAccessKey), Secret Manager 접근 시도(GetSecretValue)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탈취된 자격 증명은 후속 공격의 발판이 됩니다.Discovery (탐색)
: 공격자가 침투한 환경 내부를 파악하고, 추가적인 공격 대상을 물색하는 단계입니다. EC2 인스턴스 목록 조회, S3 버킷 내용 확인 등 클라우드 자원에 대한 광범위한 스캔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DescribeInstances, ListBuckets 등의 빈번한 호출이 이상 징후일 수 있습니다.Lateral Movement (수평 이동)
: 공격자가 초기 침투 지점에서 다른 클라우드 리소스나 계정으로 이동하며 영향력을 확장하는 단계입니다. Cross-Account Role 악용(AssumeRole), 내부 네트워크 내 다른 인스턴스로의 접속 시도 등이 대표적입니다.Collection (수집)
: 민감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를 집계하여 유출을 준비하는 단계입니다. 특정 S3 버킷에서 대량의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서 민감 정보를 쿼리하는 등의 행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Exfiltration (유출)
: 공격자가 클라우드 환경 내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입니다. 외부 S3 버킷으로 데이터 업로드, 외부 엔드포인트를 통한 데이터 전송(PutObject with cross-account access) 등이 해당됩니다. S3 PutObject 이벤트에서 비정상적인 목적지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Command and Control (C2)
: 공격자가 외부 서버와 지속적으로 통신하며 클라우드 환경 내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입니다.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패턴이나 특정 도메인으로의 통신을 통해 감지될 수 있습니다.Impact (영향)
: 공격자가 데이터 파괴, 서비스 중단, 랜섬웨어 공격과 같이 시스템의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단계입니다. DeleteObject, ScheduleKeyDeletion 등의 이벤트가 심각한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AWS CloudTrail 보안 이벤트 Top 10 : 상세 분석 및 테이텀 시큐리티의 대응 전략
아래에서는 MITRE ATT&CK의 각 단계별 시나리오에서 자주 관측되며, 특히 위험도가 높은 공격 유형 10가지와 그에 대한 테이텀 시큐리티의 실질적이고 상세한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1️⃣ Initial Access (초기 접근)
위협 : 보안 그룹 개방, 공개 키 오용, 취약한 계정 사용을 통한 클라우드 환경 침투 시도. 공격자는 노출된 관리 인터페이스나 취약한 계정을 통해 시스템에 발판을 마련합니다.
대응 예시
보안 그룹 0.0.0.0/0 + 22/3389 포트 허용 차단 : AWS Config Rule인 restricted-ssh 등을 활용하여 인터넷 전체(0.0.0.0/0)에 SSH(22번), RDP(3389번) 포트를 허용하는 보안 그룹 규칙 생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이는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부터 인스턴스를 보호하는 핵심 방안입니다.
AWS WAF로 공개된 API에 대해 OWASP Top10 차단 룰셋 적용 : 외부에 노출된 웹 애플리케이션 및 API Gateway에는 AWS WAF를 적용하고, OWASP Top10과 같은 일반적인 웹 공격(SQL 인젝션, XSS 등)에 대한 차단 룰셋을 활성화하여 웹 기반 침투 시도를 방어합니다.
EC2 인스턴스는 반드시 SSM Session Manager로 접속, 직접 SSH 차단 : EC2 인스턴스에 직접 SSH/RDP 접속을 허용하는 대신, AWS Systems Manager(SSM) Session Manager를 사용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를 통해 인스턴스에 Inbound 포트 개방 없이 안전하게 접속하고, 모든 세션 기록을 감사할 수 있습니다.
2️⃣ Execution (실행)
위협 : EC2 인스턴스나 Lambda 함수 등 클라우드 리소스를 활용한 악성 코드 실행. 공격자가 침투 후 권한 내에서 시스템 명령을 실행하거나 악성 스크립트를 구동하는 행위입니다.
대응 예시
Lambda 실행 역할(Role)에 "최소 권한" 적용 : Lambda 함수에 부여되는 실행 역할에는 해당 함수가 수행해야 하는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S3 버킷에 대한 접근 권한(s3:*) 대신, 특정 버킷에만 s3:GetObject 권한을 부여하는 식입니다. 이는 악성 코드 실행 시 피해 범위를 최소화합니다.
EC2에 SSM Agent 설치 후, 명령 실행 로그를 CloudWatch에 전송 : 모든 EC2 인스턴스에 SSM Agent를 설치하고, SSM Run Command를 통해 실행되는 모든 명령과 그 결과를 CloudWatch Logs로 중앙 집중화하여 모니터링 및 감사를 강화합니다.
보안 솔루션(CWPP, EDR 등)으로 런타임 행위 모니터링 : Cloud Workload Protection Platform(CWPP)이나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EDR) 솔루션을 도입하여 EC2 인스턴스 내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프로세스 실행, 파일 접근, 네트워크 연결 등 런타임 행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탐지합니다.
3️⃣ Persistence (지속성 확보)
위협 : 공격자가 탐지를 회피하며 클라우드 환경 내에 장기간 접근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IAM 사용자·Role 생성. 이러한 "백도어 계정"은 향후 지속적인 공격 통로로 사용됩니다.
대응 예시
신규 IAM User/Role 생성 시 Security Hub 연동 알림 : CreateUser, CreateRole 등 신규 IAM 엔티티 생성 이벤트 발생 시, AWS Security Hub를 통해 Amazon SNS로 알림을 전송하고, 이를 Slack/Microsoft Teams 등으로 연동하여 보안팀에 즉각적으로 알려 비인가된 계정 생성을 조기에 파악합니다.
aws iam list-users 결과를 주기적으로 점검 → 승인된 계정 외 자동 삭제 : aws iam list-users 명령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IAM 사용자 목록을 추출하고, 사전에 정의된 승인된 사용자 목록과 비교하여 미승인 계정 발견 시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합니다.
Access Analyzer로 신규 Role이 외부 계정에 위임되지 않았는지 검증 : AWS IAM Access Analyzer를 활용하여 생성된 Role이 의도치 않게 외부 계정에 위임(assume role)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지 지속적으로 검증합니다. Findings에서 "Allow external principal"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계정이나 공개 접근이 발견되면 즉시 수정 조치를 취합니다.
Access Analyzer Findings 예시 : principal이 내부 계정이 아닌 경우 접근 위협을 나타냅니다.
4️⃣ Privilege Escalation (권한 상승)
위협 : 공격자가 탈취한 계정이나 생성한 Role의 권한을 상향 조정하여 관리자급 권한을 확보. 이는 "권한을 슬쩍 높여서 관리자급으로 변신"하려는 시도입니다.
대응 예시
IAM 정책에서 AdministratorAccess 직접 부여 금지, SCP(Service Control Policy)로 차단 : AWS Organizations의 SCP를 사용하여 조직 내 모든 계정에서 AdministratorAccess와 같이 광범위한 관리자 권한이 포함된 정책의 직접적인 부여를 원천적으로 금지합니다.
CloudTrail 이벤트 AttachRolePolicy 발생 시 자동 알람 : AttachRolePolicy 또는 PutUserPolicy와 같이 IAM 엔티티에 새로운 정책이 연결되거나 변경되는 이벤트를 CloudTrail에서 탐지하여 즉시 알림을 발송하고, 해당 변경이 승인된 절차에 따른 것인지 확인합니다.
정기적으로 IAM Credential Report를 확인해 권한 변경 추적 : IAM Credential Report를 주기적으로 다운로드하여 각 IAM 사용자/Role의 최근 활동, 자격 증명 상태, 부여된 권한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비정상적인 권한 변경을 감지합니다.
5️⃣ Defense Evasion (방어 회피)
위협 : 공격자가 보안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CloudTrail/GuardDuty 등의 핵심 보안 서비스를 비활성화하거나 로그를 삭제. 이는 "증거를 남기지 않고 마음대로 활동"하려는 시도입니다.
대응 예시
Organization 수준 CloudTrail 필수 활성화 : AWS Organizations를 활용하여 조직 내 모든 계정에 CloudTrail을 필수적으로 활성화하고, 멤버 계정에서는 StopLogging 등의 API 호출이 불가능하도록 SCP를 적용하여 로깅 중단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GuardDuty Central 관리 모드 설정 : AWS Organizations를 통해 GuardDuty 중앙 관리 모드를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하위 계정에서 GuardDuty를 비활성화하더라도, 중앙 관리자는 여전히 해당 계정의 위협 활동을 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로그 저장 S3 버킷에 MFA Delete 활성화 + IAM policy로 Delete 권한 차단 : CloudTrail 로그가 저장되는 S3 버킷에 Multi-Factor Authentication(MFA) Delete 기능을 활성화하여, 버킷 내 객체 삭제 시 반드시 MFA 인증을 요구합니다. 또한, 해당 S3 버킷에 대한 IAM Policy에서 s3:DeleteObject 권한을 극도로 제한하거나 특정 Role에게만 부여합니다.
6️⃣ Credential Access (자격 증명 탈취)
위협 : 공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AccessKey를 발급받거나, Secret Manager에 저장된 민감 자격 증명에 무단 접근. 이는 "새로운 API 키 발급하여 외부에서 몰래 사용"하려는 시도입니다.
대응 예시
AccessKey 발급 시 Lambda가 즉시 실행되어 Slack에 알림 + 자동 비활성화 : CreateAccessKey 이벤트가 CloudTrail에 기록되면, Amazon EventBridge와 AWS Lambda를 연동하여 즉시 Slack/Teams로 알림을 전송하고, 동시에 해당 AccessKey를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합니다.
Secret Manager 접근은 IAM 조건(aws:RequestTag, aws:PrincipalTag) 기반으로 제한 : AWS Secrets Manager 접근 시, IAM Policy의 Condition 블록을 활용하여 특정 태그가 붙은 요청(aws:RequestTag)이나 특정 태그가 붙은 사용자/역할(aws:PrincipalTag)에게만 접근을 허용합니다.
미사용 AccessKey는 90일 이상 시 자동 회수 : AWS Config 또는 Custom Lambda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90일 이상 사용되지 않은 AccessKey를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자동으로 비활성화하거나 삭제하여 공격 표면을 줄입니다.
조건 예시
aws:RequestTag: 요청 시 붙인 태그를 기반으로 접근 허용/거부 (예: Environment=Prod 태그가 붙은 Secret만 접근 허용)aws:PrincipalTag: 요청을 수행하는 사용자/역할에 붙은 태그를 기반으로 접근 허용/거부 (예: Team=DevOps 태그가 붙은 사용자만 Secret 접근 가능)
7️⃣ Discovery (탐색)
위협 : 공격자가 침투한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EC2, S3, IAM 등 다양한 자원을 스캔하여 추가적인 공격 대상을 물색. 이는 잠재적 취약점이나 민감 정보를 찾기 위한 사전 정찰 활동입니다.
대응 예시
GuardDuty "Resource Enumeration" 탐지 활성화 : Amazon GuardDuty의 위협 탐지 기능을 통해 "Resource Enumeration" 유형의 활동을 감지합니다. GuardDuty는 공격자가 계정 내 리소스 목록을 수집하거나 접근 가능한 권한을 탐색하는 활동(예: ListUsers, ListRoles, ListGroups, DescribeInstances, ListBuckets 등의 API 호출 급증, 권한 없는 계정에서의 리소스 조회 시도, 외부 IP를 통한 리소스 스캐닝 등)을 모니터링하여 알림을 발생시킵니다.
CloudTrail에서 Describe* 호출이 비정상적으로 급증할 경우 알림 : DescribeInstances, DescribeBuckets, DescribeSecurityGroups와 같은 자원 조회 관련 API 호출이 특정 사용자나 IP로부터 비정상적으로 급증하는 패턴을 CloudTrail에서 감지하여 알림을 설정합니다.
VPC Flow Logs에서 대량의 포트 스캔 탐지 시 Lambda로 해당 SG 자동 차단 : Amazon VPC Flow Logs를 분석하여 대량의 포트 스캔 시도(짧은 시간에 많은 포트 연결 시도)를 탐지하고, Amazon EventBridge와 AWS Lambda를 연동하여 해당 스캔을 수행하는 IP 주소를 보안 그룹에서 자동으로 차단합니다.
8️⃣ Lateral Movement (수평 이동)
위협 : 공격자가 이미 침투한 시스템의 권한을 활용하여 다른 계정이나 서비스의 Role로 전환(AssumeRole)함으로써 클라우드 환경 내에서 수평적/수직적으로 이동. 이는 "권한 큰 Role을 이용해 다른 계정으로 이동"하는 공격 전술입니다.
대응 예시
STS AssumeRole 사용 시 MFA 조건(aws:MultiFactorAuthPresent=true) 강제 : sts:AssumeRole을 사용하는 IAM Role Trust Policy에 Condition 블록을 추가하여, Role을 Assume하는 주체가 반드시 Multi-Factor Authentication(MFA)을 사용하여 인증되었을 경우에만 허용하도록 강제합니다.
Role 신뢰 정책에서 특정 계정/서비스만 허용 (Principal 제한) : IAM Role의 Trust Policy(AssumeRolePolicyDocument)에서 Principal 요소를 특정 AWS 계정 ID, IAM User ARN 또는 서비스 ARN으로 명확히 제한하여, 비인가된 주체가 해당 Role을 Assume할 수 없도록 합니다.
SessionName 태깅 규칙 ({"aws:RequestTag/Owner": "username"}) 강제 : sts:AssumeRole 호출 시 SessionName 파라미터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규칙을 강제합니다. 이는 Role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더라도 누가 어떤 작업을 수행했는지 CloudTrail 로그에서 명확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책임 추적성을 강화하고 감사 용이성을 높입니다.
9️⃣ Exfiltration (데이터 유출)
위협 : S3 버킷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계정/엔드포인트로 전송하는 등 민감 정보를 클라우드 외부로 유출. 이는 기업 자산에 대한 직접적인 손실을 의미합니다.
대응 예시
S3 Block Public Access 조직 전체 적용 : AWS Organizations 수준에서 S3 Block Public Access 기능을 적용하여, 조직 내 모든 계정의 S3 버킷에 대한 퍼블릭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Macie로 민감 데이터 탐지 후, 외부 공유 시도 시 알림 : Amazon Macie를 활용하여 S3 버킷 내에 신용카드 번호, 개인 식별 정보(PII) 등 민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탐지하고, 이러한 민감 데이터가 포함된 버킷이 외부와 공유되거나 외부로 전송 시도될 경우 즉시 알림을 발생시킵니다.
VPC Endpoint 정책으로 S3 접근을 특정 VPC/Subnet에서만 허용 : S3에 대한 접근을 특정 VPC Endpoint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정책을 적용합니다. 이는 S3에 대한 인터넷 경유 접근을 차단하고, VPC 내부의 통제된 환경에서만 S3에 접근하도록 강제합니다.
정책 예시 : 특정 VPC Endpoint (vpce-0abcd1234efgh5678)만 허용하고, 다른 Endpoint 또는 인터넷 경유 접근 시 Deny를 적용합니다. 특정 Subnet만 허용하려면 해당 Subnet이 연결된 Endpoint를 지정하거나, aws:SourceIp 조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mpact (영향)
위협 : KMS 키 삭제, 데이터 파괴, 랜섬웨어와 유사한 행위 등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 또는 서비스 중단 유발. 이는 비즈니스 연속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대응 예시
KMS 키 삭제 예약 시 Approval Workflow(SNS → Lambda → 관리자 승인) 필수화 : KMS 키 삭제(ScheduleKeyDeletion) 요청 시, 자동으로 Amazon SNS로 알림을 보내고, AWS Lambda를 통해 관리자에게 승인 요청을 하는 등 다단계 승인 워크플로우를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합니다.
RDS, S3 버전 관리 활성화로 데이터 롤백 가능하게 설정 :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자동 백업 및 S3 버킷의 버전 관리를 활성화하여, 데이터 손상 또는 삭제 시 언제든지 이전 상태로 데이터를 롤백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대비합니다.
백업 계정 분리 운영 : 모든 백업 데이터를 운영 환경과 완전히 분리된 별도의 AWS 계정(Backup Account)에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는 메인 계정이 공격으로 완전히 장악되더라도 백업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존되어 복구 계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테이텀 시큐리티 : MITRE ATT&CK 기반의 총체적인 클라우드 보안 전략 구현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CloudTrail 로그는 단순한 감사 기록을 넘어, 공격자의 발자취를 그대로 담고 있는 핵심적인 보안 데이터입니다. 위에 제시된 Top 10 이벤트들은 실제 공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법과 직결되며, 방어 회피 → 권한 탈취 → 데이터 유출과 같은 치명적인 공격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클라우드 보안 대응 전략은 단순히 위협을 감지하는 것을 넘어, 탐지, 알림, 그리고 자동 차단 체계를 미리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이를 위한 핵심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IAM 최소 권한 원칙 (Least Privilege) 구현 : 불필요한 권한을 차단하여 공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표면적을 최소화합니다.
CloudTrail/Config/GuardDuty 통합 운영 : 핵심 AWS 보안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위협 탐지 및 알림을 자동화하고,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대한 총체적인 가시성을 확보합니다.
로그 중앙화 및 무결성 보장 : S3 버전 관리, 별도 보안 계정 분리 운영 등을 통해 모든 감사 로그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위변조 불가능한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합니다.
테이텀 시큐리티는 클라우드 보안 전문 기업으로서, 이러한 MITRE ATT&CK 프레임워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실질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과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저희 테이텀 CNAPP(Cloud Native Application Protection Platform) 솔루션은 AWS CloudTrail을 비롯한 모든 클라우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임계치 기반의 정교한 탐지 정책을 통해 공격 시나리오를 식별합니다. 또한, 식별된 위협에 대해 담당자에게 이메일, Slack 등 다양한 채널로 즉시 알림을 발송하며, 필요한 경우 자동 차단 및 복구 기능을 연동하여 보안 침해 시도를 사전에 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체계를 구현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강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테이텀 시큐리티는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과 오랜 경험을 통해 고객사의 소중한 클라우드 자산을 가장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집중합니다.
귀사의 클라우드 보안 현황을 점검하고 강화할 필요성을 느끼신다면, 언제든 테이텀 시큐리티에 문의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테이텀 시큐리티는 보안 담당자분들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
📩 문의: ask@tatumsecurity.com
Mor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277-81-01840 | CEO : Yang Hyuk-jae
11-10, 8th Floor, Teheran-ro 77-gil, Gangnam-gu, Seoul (Samseong-dong, Somang Building)
Mail Order Business Registration: No. 2021-Seoul Seocho-3149 Check Business Information
Phone Number: 02-6949-2446
©2025 Tatum Security. All rights reserved.



